class="layout-wide color-bright post-type-text paging-view-more">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내부 도장작업 안전(8)

반응형

차량계 하역운반기계 작업계획서-렌탈.doc
3.50MB
테이블리프트 작업계획도.pptx
0.48MB

 

◆ 시저형, 굴절형 고소작업대

 

A형 사다리로도 안닿는 곳은 비계를 쌓아서 작업을 많이 합니다 비계를 쌓아서 작업을 할 거면 지금까지 말비계, 사다리 등을 이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별도로 다루도록 하고 비계가 없는 구역에서 고소작업대를 이용할 수 밖에 없는 구역에 대한 안전수칙을 알아보겠습니다

 

3.5m를 초과하여 사다리로도 작업이 불가능한 곳을 포함 낮은 곳에서도 고소작업대를 많이 이용합니다

시저형 고소작업대는 중간, 상부 난간대가 있어 안전한 상승 작업대를 제공하여 세밀하고 정밀한 작업을 높은 곳에서 할 수 있게 해줍니다 또 배터리를 사용하여 협소한 공간에서 작업이 쉽고 고층 작업시 크레인이나 호이스트로 장비를 옮겨 쉽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굴절형 고소작업대는 시저형 고소작업대에 비해 더 높고 좁은 곳의 고소 작업에 접근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시저형 고소작업대가 접근하기 힘든 공간도 작업이 가능하게 해줍니다

 

시저형 고소작업대(=Table Lift)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고소작업대 작업계획을 수립해야 하고 도급사의 승인하에 작업을 진행해야 합니다 고소 작업시 타 보면 흔들거리는게 위험함이 바로 느껴집니다

 

소위 '렌탈'이라고 많이들 부르고 있습니다 이유는 사서 쓰는 업체는 별로 없고 대부분 렌탈 형식으로 임해서 쓰기 때문입니다

 

시저형 고소작업대를 사용하기 위한 서류를 먼저 볼까요?

 

건설공사에 사용되는 건설기계는 [산업안전보건법]과 [건설기계관리법]의 법률 규정을 준수해야 하고 두 법 모두 건설기계의 종류를 양중기, 차량계 하역운반기계, 차량계 건설기계 의 3가지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종 류 항 목 내          용
양중기 기능 중량물을 매달아 상,하,좌,우로 운반하는 기계
종류 크레인, 이동식 크레인, 타워크레인, 리프트, 곤돌라, 승강기
차량계 하역운반기계 기능 화물이나 사람을 싣고 다른 장소로 운반하는 기계
종류 고소작업대, 화물자동차, 지게차, 구내운반
차량계 건설기계 기능 동력원을 사용하여 특정되지 않은 장소로 스스로 이동할 수 있는 기계
종류 굴착기, 덤프트럭, 콘크리트 펌프카, 항타항발기, 콘크리트 믹서트럭, 천공기, 로더, 롤러, 불도저,  스크레이퍼, 크램쉘

출처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별표 6 을 간략히 요약한 내용입니다

 

테이블 리프트는 차량계 하역운반기계에 해당이 되므로 차량계 하역운반기계 작업계획서를 작성하시면 됩니다

 

작업계획서의 빈칸채우기 내용 중 작업계획도는 공사현장 내 어느 지점에서 테이블리프트를 사용할건지 그리고 작업범위는 어떻게 되는지 도면에 표시해 주면 좋습니다

 

작업계획서를 승인받고 작업하기 전에 관리감독자(공사팀장), 유도자, 운전원, 작업자의 서명을 받고 잠깐 팀별TBM을 하고 사진을 찍습니다

 

테이블리프트는 안전한 것 같지만 사고가 나면 중상인 경우가 많습니다 작업발판이 안전해 보이기 때문에 오히려 안전수칙을 잘 안지키고 방심하게 되는 작업 중 하나입니다 

출처 : 고용노동부 2012~2020년 시저형 고소작업대 사망사고 현황

 

특이하게도 끼임사고가 많으며 끼이면 중상입니다 

테이블리프트로 인한 재해 발생시 안전서류 미비 사례도 많습니다 따라서 서류 잘 챙기셔야 합니다

 

테이블리프트를 사서 사용하는 업체도 있겠지만 대부분 렌탈을 합니다

렌탈 신청을 하면 일일로 쓰던 월대로 사용하던 여러가지 서류들을 보내줍니다

   ● 사업자등록증

     생산물배상책임보험 계약명세 - 사고시 보상에 관한 보험

    제원표 - 여기서는 작업높이, 적재중량을 잘 보셔야 합니다

여기서 맨 밑에 메인플렛폼 중량만 고려하고 확장플렛폼 중량을 고려하지 않은 이유는

왼쪽 그림처럼 작업을 하면 좋겠지만 작업을 하다 보면 오른쪽 그림처럼 이동을 할 수가 있습니다 물론 그러면 안되지만 작업을 하다보면 확장판쪽으로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이동을 할 수가 있습니다

따라서 이론상의 무게 만큼만 확장판에서 작업을 하면 좋겠으나 그렇게 안됩니다

 

확장판을 100% 뺐을 경우 하중이 가해지면 과장된 그림으로 표현하면 

정하중, 동하중과 진동을 받아 확장판이 빠질 수 있습니다

실제로 빠져서 재해로 이어진 사례들도 있습니다

 

따라서 최대한 확장판을 빼지 않고 작업하는 것이 중요하고 빼야 하는 상황이라면 75% 정도만 빼는게 좋습니다

75%정도만 빠질 수 있도록 하는 안전장치는 테이블리프트 내부에 생명줄을 연결할 때 75%로 확장한 상태에서 최대한 팽팽하게 생명줄을 연결해 놓으면 더 이상 확장되지 않도록 하는 안전장치가 될 수 있습니다

그림으로 보시면 좀 더 이해가 가시리라 믿습니다

 

글이 너무 길어지니 다음번에 이어서 하겠습니다

 

반응형